일찍부터 복지와 성 평등 정책으로 주목받아온 북유럽 스웨덴은 출산율이 1.5명대로 하락하는 등 저출생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불확실한 미래가 출산을 가로막는 주된 원인이라며 제도적으로 자녀를 낳아 기를 만한 여건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한다고 지적하는데요, <br /> <br />스웨덴 현지 상황을 이키아라 리포터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모차를 끌며 라테 커피를 들고 낮 시간대를 즐기는 스웨덴 아빠들. <br /> <br />이른바 '라테 파파'로 불리는 이들은 스웨덴의 육아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입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에서 '라테 파파'가 일상으로 자리 잡은 것은 지난 1970년대부터 시행된 스웨덴의 '일 가정' 양립 정책 덕분입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정부가 유급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할당제 등 부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도적으로 마련해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는 데 역할을 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고란 코식 / 스웨덴 스톡홀름 : 저희 가족이 경험한 주된 스웨덴 정책은 유급 출산 휴가입니다. 저는 자녀 3명의 아빠인데요, 거의 1년 동안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집에 있었습니다. 유급이라도 그 돈으로 부자가 될 정도의 큰 금액은 아니지만,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 자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성공적인 정책에도 불구하고 스웨덴 역시 저출생 문제를 피하지 못한 상황. <br /> <br />한때 2명을 넘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3년 기준 1.5명대로 하락했고, 지난해 역시 이와 비슷한 추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스웨덴의 출산율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현대 사회가 겪는 전반적인 불확실성을 꼽습니다. <br /> <br />[안소피 두반데르 / 스톡홀름대학 인구통계학과 교수 : 저희 인구학자들이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불확실성입니다. 자기 자신의 미래가 불확실하고, 사회 전반적으로도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인력 시장의 예측 불가능성은 스웨덴 복지 정책의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 <br /> <br />[안소피 두반데르 / 스톡홀름대학 인구통계학과 교수 : 일과 가정 양립 정책은 본질적으로 안정적인 사회를 전제로 설계된 정책입니다. 현재 이 정책의 주요 문제는 정책 자체가 아니라 노동 시장과의 연관성입니다. 현재와 같이 유연한 고용 시장이 확산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복지 정책이 충분히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키아라 (bgy06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1103370688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