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이제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1기 때보다 더한 '보호무역주의'가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산업계는 바짝 긴장하며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첫날 사인하겠다고 공언한 보편관세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당선인 : 관세는 잘 활용하면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 것입니다. 우리는 모든 카드를 손에 쥐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에 60%, 나머지 나라에 10~25%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으로, 기본적으론 대중국 견제책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국산 제품에 관세가 얼마나 더해지느냐에 따라 대미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에도 직격탄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산업연구원은 대미국 수출감소 효과가 적게는 9% 많게는 13%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고, <br /> <br />무역협회도 수출 경기가 악화할 걸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도 올해 수출 증가율은 1%를 겨우 넘을 걸로 예상하면서 가장 큰 이유로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과 관세부담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급해진 정부는 이른바 '트럼프 리스크'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삐를 바짝 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상목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매주 대외경제 현안간담회를 열어 대비하는 한편, <br /> <br />무역위원회를 전면 확대 개편하고 수출 기업에 역대 최대 규모인 360조 원대 무역금융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상목 / 대통령 권한대행 : 관세 인상, IRA 폐지 등 주요 쟁점별 대응전략을 수립하고, 수출·투자·공급망도 다변화하겠습니다. 민·관의 대외협력 역량을 결집하여 미국 새 정부와의 소통 노력에도 역점을 두겠습니다.] <br /> <br />산업계는 산업계대로 생존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직개편과 긴축경영으로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는 한편, 관세장벽을 넘을 방안도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제철이 미국 제철소 건설이라는 투자 카드를 꺼내 보인 것이나 포스코가 여러 투자처 중에 미국을 유력하게 검토하기로 한 것도 그 일환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내 대기업 대다수가 이미 바이든 정부 시절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했고, 경기 위축으로 추가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이번 '트럼프발' 무역 장벽을 우회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조성대 /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: 트럼프의 관세 조치나 다양한 공급망 상의 변수들 때문에 최대 수출시장이 미국인 기업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혜경 (whitepaper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11406315637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