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달·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한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일곱 번째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위해 발사했지만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페이스X는 미 중부 시각 16일 오후 4시 37분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지만 궤도비행에는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타십은 발사 후 예정대로 1단 로켓 부스터와 2단 우주선이 성공적으로 분리됐지만 2단 우주선이 로켓 부스터와 분리 뒤 통신이 두절돼 사라지면서 비행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페이스X 측은 "비행 시작 뒤 8분 30초 만에 우주선과의 연락이 끊어진 것으로 보인다"며 "현재 우주선을 잃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생중계를 맡은 엔지니어들은 우주선과 연락이 끊길 무렵에 우주선의 주된 엔진이 꺼지기 시작했다며 모든 데이터를 검토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데 며칠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우주선과 분리된 1단 로켓 부스터는 부드럽게 하강해 메카질라(Mechazilla)로 불리는 지상 발사탑의 공중 '젓가락 팔' 장비에 안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스타십은 지난해 10월 5차 시험비행에서 젓가락 팔 장비의 로켓 부스터 포획·회수에 성공해 스타십 개발 가도에 큰 이정표를 세운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6차 비행에서는 같은 방식의 로켓 부스터 회수에 실패해 아쉬움을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스타십의 시험비행은 우주비행사가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무인 비행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스페이스X는 2023년 4월과 11월, 지난해 3월과 6월, 10월, 11월까지 6차례에 걸쳐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초반 4차례의 비행에서는 상당한 실패를 겪었지만, 지난해 10월 5차부터 계획된 비행 과정을 완료하며 점차 성공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머스크는 그동안 화성을 개척해 인류가 이주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로 스타십을 개발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 우주선은 미 항공우주국(NASA)이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달에 보내려고 추진하는 '아르테미스' 프로젝트 3단계 임무에도 사용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잔디 (jand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1709005092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