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을 별다른 논평 없이 대내 매체에 실었다. 북한 매체들은 “북한은 핵 보유국(nuclear power)”이라고 한 트럼프의 공개 발언도 전하지 않았는데,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만찮은 상대인 ‘트럼프의 귀환’을 맞아 대미 정책 노선을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. <br /> <br /> 북한 노동신문은 22일 6면에 “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. 그는 지난해 11월 진행된 선거에서 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됐으며 취임식이 현지 시간으로 20일 워싱턴에서 진행됐다”고만 전했다. 이런 ‘두 줄 보도’는 8년 전인 2017년 1월 20일 트럼프 1기 출범 때와 동일한 형식이다. 당시에도 북한 매체는 “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미 대통령으로 취임했다”고만 짤막하게 전했다. <br /> <br /> 북한 매체들은 지난 20일(현지시간) 트럼프의 북한 관련 발언들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. <br /> <br />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북한과 관련한 기자의 질의에 “이제 그(김정은)는 핵 보유국”이라며 “김정은은 나를 좋아했고, 내가 돌아온 것을 반기고 있을 것”이라고 했다. 취임식 이후 무도회에서 주한미군 장병들과 화상연결을 하며 “김정은은 잘 있나”라고 묻기도 했다. 트럼프의 연이은 유화 메시지에도 북한은 침묵을 지킨 셈이다. <br /> <br />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그 자체로 트럼프 1기 때처럼 섣불리 북·미 정상회담에 나설 수 없는 김정은의 복잡한 심경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.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(북한학)는 “김정은은 트럼프의 성격상 그의 대화 요구에 응하지 않거나, 미국에 비판 메시지를 낼 경우 트럼프의 급격한 화를 부를 수 있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”이라며 “김정은으로선 트럼프의 일방적인 언급이 폭력적으로 느껴질 여지마저 있다”라고 지적했다. <br /> <br /> 앞서 김정은이 지난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09353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