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또 다른 핵심 쟁점은 부정선거 의혹이었습니다. <br> <br>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한 음모론 아니냐는 지적에, 대통령은 "음모론이 아닌 팩트, 그러니까 사실관계 확인 차원"이라고 항변했습니다. <br> <br>공태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12월 3일, 비상계엄당일 계엄군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진입했습니다. <br> <br>부정선거 증거를 찾기 위해서였다는 게 대통령 측 입장인데, 국회 측은 부정선거라는 망상에 사로잡혀 계엄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계엄 정당화를 위한 사후 논리가 아니라고 직접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] <br>"아까도 이런 부정선거 의혹이 음모론이라고 하시고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한거라고 사후에 만든 논리라고 하셨는데, 이미 계엄 선포하기 전에 이런 여러 가지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에 의문이 드는 것들이 많이 있었고." <br> <br>국가정보원의 선관위 점검 결과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] <br>"2023년 10월 국정원에 선관위 전산장비에 아주 극히 일부를 점검한 결과 문제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." <br> <br>[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] <br>"부정선거 자체를 색출하라는 것이 아니라 선관위의 전산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스크린 할 수 있으면 해봐라. 어떤 장비들이 있고. 어떤 시스템에 의해서 가동이 되는지 그런 것이기 때문에." <br> <br>'음모론'이 아니라 사실 관계 확인 차원이라는 점을 알아달라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[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] <br>"저희가 무슨 선거가 전부 부정이어서 믿을 수 없다 하는 그런 음모론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팩트를 확인하려는 그런 차원이었다는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." <br> <br>중앙선관위는 이러한 조작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혀 왔습니다. <br> <br>[노태악/중앙선거관리위원장(지난달 13일)] <br>"저희 시스템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오늘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국정원의 투개표 점검 결과에서 해킹을 통해 선거인 명부 시스템 변경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