뉴욕 증시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약했던 관세 폭탄이 취임 직후 시행되지 않은 데 안도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캐나다와 멕시코에 신규 관세 부과 방침을 시사한 만큼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뉴욕 증시 3대 지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거래일에 일제히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임 당일 트럼프의 국제 무역 기조와 관세 정책의 '톤'이 우려 만큼 강하지 않았다는 인식이 투자 심리를 뒷받침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보편 관세가 "아직 준비되지 않았다"고 언급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다음 달 캐나다와 멕시코에 신규 관세 부과 방침을 시사한 만큼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현지시간 20일) : 멕시코와 캐나다에 25% 관세 부과를 고려 중입니다. (언제 시행할 겁니까?) 제 생각에는 2월 1일입니다.] <br /> <br />광범위한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으로 우려하던 월가 투자자들은 앞으로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지연될 수 있다며 안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골드만삭스는 보편 관세 부과 확률은 25%로 하향 조정했고, 멕시코·캐나다 대상 관세 확률은 20%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세가 부과돼도 트럼프가 공표한 AI와 에너지 규제 완화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브라이언 모이니한 / 뱅크 오브 아메리카 CEO : 기업들은 규제 완화로 효율이 높아져 관세 부담을 소비자와 함께 흡수해 큰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겁니다.] <br /> <br />뉴욕 증시에서 트럼프가 취임 첫날 지시한 전기차 의무화 폐지 정책의 영향으로 테슬라 등 전기차 관련 기업의 주가는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트럼프가 취임사에서 화성 개척을 언급한 뒤 우주 기업 주가는 폭등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월가 투자자들은 물가 안정과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규제 완화에 초점을 맞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기조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 : 최고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2207241605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