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직무정지된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“정치권의 고위직이 금융기관을 직접 만나서 요청을 하는 것은 상당히 신중해야 한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한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‘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’ 1차 청문회에 출석,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6대 시중 은행장 간담회에 대한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“이 대표가 6대 시중은행장을 불러 만난 것은 오만의 발로다. 잘못하면 야당 주도로 옛날 관치 금융으로 회귀할 수 있는 문제라 본다”며 한 총리에 의견을 물었다. <br /> <br /> 이에 한 총리는 “전적으로 동감한다”며 “금융부분은 우리 산업의 혈액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지만 동시에 자율성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”고 답했다. 그러면서 “그래서 모든 나라가 금융에 대한 자율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다”고 부연했다. <br /> <br /> 이어 “일반적인 정치 행위를 금융에다 넣기 시작하면 금융이 제대로 발전하고 필요할 때 민간 기업에 대해 혈액 역할을 할 수가 없다”고 지적했다. 이어 “어느 나라 정부도, 특히 정치권 고위직이 금융기관을 직접 만나는 건 신중해야한다”고 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이 대표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‘더불어민주당·은행권 간담회’에서 조용병 은행연합회장과 6대 시중은행장(KB국민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09377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