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 비즈니스는 물론 개인의 일상까지도 인공지능, AI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바야흐로 'AI의 시대'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AI 관련 인프라를 늘리는 동시에 법 제도 보완을 통해, 올해를 'AI 글로벌 3대 강국' 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박나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이 기술과 산업은 물론 예술과 일상까지 파고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이에 뒤처지지 않도록 지난해 국가 AI 위원회 출범을 시작으로 AI 안전연구소 개소 등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상임 / 과기정통부 장관(YTN 라디오 이익선·최수영의 '이슈&피플') : 우리가 갖추고 있는 게 꽤 많아요. 하드웨어 메모리 전 세계 탑을 오랫동안 유지했고 AI를 응용하는 영역도 다양하게 발달을 해서. 이번에 CES 2025 라스베가스에서 혁신상을 전체에서 46%가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차지했어요.] <br /> <br />정부는 올해를 AI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고 본격적으로 세계 경쟁력을 키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민관 합작 투자로 추진 중인 '국가 AI 컴퓨팅 센터'를 오는 11월부터 운영합니다. <br /> <br />초기에는 외국산 첨단 GPU를 공급하지만, 국산 AI 반도체 비율은 점차 늘리는 방식으로, 2030년까지는 전체 비중의 절반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유상임 / 과기정통부 장관(YTN 라디오 이익선·최수영의 '이슈&피플') : GPU가 굉장히 비싼데 그런 것을 빨리 사 와서 연구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…대학, 연구소, 기업까지도 쓸 수 있도록. 사실은 궁극적으로는 민간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이거를 활성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AI 산업 성장과 함께 AI 안전관리 기준도 제시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세계 두 번째로 AI 기본법이 의결됨에 따라 국민과 기업이 AI 기본법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딥페이크 워터마크 등 AI 안전에 필요한 하위 법령을 조기에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상임 / 과기정통부 장관(YTN 라디오 이익선·최수영의 '이슈&피플') : 하위 (AI 기본법을) 보충할 수 있는 많은 그런 법령들이 마련돼야 합니다. 곳곳에 저작권 보호도 그렇고 뭐 여러 가지. 여러 규제의 수준을 좀 조율하는 그런 형태로 법 제정이 계속 따라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전 세계 AI 경쟁력 1, 2위는 미국과 중국으로 우리나라는 3위권 그룹에서 우위를 다투는 상황. <br /> <br />날로 치열해지는 AI 패권경쟁에서 올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나연 (pn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501250024340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