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주항공 사고 여객기 양쪽 엔진에서 깃털이 발견됐다고 했는데, 분석해보니 겨울 철새인 가창오리 깃털이었습니다.<br> <br>무안공항 근처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조류인데, 당시 공항 감시 카메라에도 여객기와 새 떼가 접촉하는 장면이 찍혔습니다.<br> <br>우현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사고 당시 제주항공 여객기 한쪽 날개 엔진에서 폭발한 듯 흰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. <br> <br>새떼와 충돌 가능성이 제기됐는데 오늘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국토부 항공사고철도조사위는 공항 CCTV에서 복행하던 항공기가 조류와 충돌하는 장면이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사고 당일 오전 8시 57분 50초, 무안공항 관제탑은 항공기에 조류 충돌을 주의하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21초 뒤, 조종사들이 항공기 아래에 조류가 있다는 대화를 나눈 사실이 새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1분도 안 돼 블랙박스 저장이 중단됐고, 곧바로 조종사가 조류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를 외친 겁니다. <br> <br>4분 뒤에는 동체 착륙하며 활주로 끝 로컬라이저와 최종 충돌했습니다.<br> <br>사조위는 양쪽 엔진에서 발견된 깃털과 혈흔을 유전자 분석한 결과, '가창오리'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가창오리는 겨울에 한반도에 머무는 철새로 많게는 수만 마리가 떼 지어 날아다닙니다. <br> <br>한 조류 전문가는 참사 당일 가창오리 떼를 봤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주용기 / 생태문화연구소장] <br>"(사고 당일) 오후 4~5시 정도에 확인할 때 가창오리가 1만 마리가 있었고요. 가창오리 무리가 아침 시간에 저수지로 쉬는 장소로 복귀하다가 비행기와 교행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거죠." <br> <br>사조위는 잔해 정밀 조사와 증인 인터뷰 등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분석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