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설 명절, 황금연휴긴 하지만, 혼란한 시국에 고물가까지 겹쳐 분위기가 예년과 사뭇 다르게 느껴지죠. <br /> <br />본격적인 나들이가 고민이라면, 박물관에서, 또 집에서 고요히 우리 전통을 만나보는 건 어떨까요? <br /> <br />송재인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공예박물관은 조선 왕실 결혼식이 치러지던 안동별궁 터에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화려한 금박이 수놓아진 조선시대 왕비의 당의, <br /> <br />그 옆으론 왕실의 청화백자가 고즈넉한 자태를 자랑합니다. <br /> <br />17세기, 왕실을 벗어나 대중과 만난 나전칠기와 <br /> <br />근현대 격동의 시기에도 전통을 지켜낸 장인들의 다양한 공예품들까지. <br /> <br />2만3천여 점에 달하는 작품들을 통해 고요 속에 일렁이는 우리 전통을 만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선희 / 경기 용인시 동백동 : 옛날 예쁜 공예품들을 보니까 되게 아기자기하고 우리 조상들이 이렇게 예쁜 공예품을 사용했구나 생각했습니다.] <br /> <br />[이다혜 / 경기 고양시 지축동 : 예술품에 관심은 있었는데 아무래도 여기가 접근성도 좋고 아이랑 오기도 편해서 보기 좋은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과거와 현대를 잇는 공예 전시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건축을 공예적 요소로 재해석한 기획 전시에선 평온한 사색의 시간을 가져볼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물관 내 '공예 마을'에선 아이와 함께 직접 공예품을 만들어볼 수도 있는데, <br /> <br />입소문이 나면서 개관 5년 차인 지금까지도 주말이면 현장 예약 '오픈런'이 벌어지곤 합니다. <br /> <br />[이채원 / '공예 마을' 체험자 : 이거 바느질해서 만드는 게 재밌었어요.] <br /> <br />박물관과 거리가 있다면, 집에서도 우리 전통의 깊은 소리를 들어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유산진흥원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무형유산 장인들의 이른바 ASMR 작업 영상들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9년부터 시작한 시리즈는 최근 다시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, <br /> <br />"요즘처럼 마음이 어지러울 때 틀어두면 신기하게 차분해진다"는 댓글이 한 달 전 달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기에 힘입어 누적 조회 수 3백만 회를 넘긴 영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제가 된 '다회치기' 영상, 잠시 감상해볼까요? <br /> <br />예년과는 다른 분위기 속 맞게 된 이번 설, 전통을 즐기는 풍경은 다소 달라질 수 있지만 평안을 바라는 마음만은 그대로일 겁니다. <br /> <br />YTN 송재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재인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5012602061840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