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반도체 양대산맥,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AI 시대 HBM을 앞세운 SK하이닉스가 훨훨 날며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반면, 삼성전자는 '반도체의 겨울'을 보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삼성이 주도권 탈환을 노리며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지만 한 번 놓친 흐름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삼성과 SK하이닉스의 희비를 가른 건 고대역폭메모리 HBM입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엔비디아와 손잡은 SK하이닉스는 날개를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AI 거물 엔비디아에 HBM을 사실상 독점 납품하면서 지난해 4분기와 연간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 '대한민국에서 가장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'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. <br /> <br />[최태원 / SK그룹 회장(지난해 11월) : (HBM 공급을) 6개월을 당겨달라…. 그래서 6개월을 당겨보겠다고 노력하겠다고 하고 왔습니다. 솔직히 미팅을 더 가기가 이제 좀 두렵습니다. 한 번 더 가면 또 당기라고 할까 봐….] <br /> <br />이달 초 CES에서도 끈끈한 관계를 보여준 젠슨 황과 최태원 회장. <br /> <br />최 회장은 하이닉스의 HBM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 수준을 넘어섰다며 올해에도 독점적 지위 유지에 문제가 없음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우현/ SK하이닉스 재무담당 : 특히 올해는 베이직 기반의 HBM 고객 수요도 의미 있게 증가함에 따라 고객 기반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반면 '반도체 초격차'를 내걸었던 삼성은 한마디로 전전긍긍입니다. <br /> <br />작년 말 메모리와 파운드리 부문 수장을 전격 교체하고 잃어버린 위상을 되찾겠다며 벼르고 있지만, <br /> <br />범용메모리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율 부진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HBM 최대 수요처인 엔비디아 젠슨 황은 삼성 제품에 대해 여전히 '테스트 중'이고, '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'며 미온적 태도를 보이는 상황. <br /> <br />[염승환 / LS증권 이사 : 지금의 흐름은 삼성 스스로의 경쟁력이 약화됐기 때문에 나온, 좀 굉장히 자존심이 상할 만한 그런 좀 상황이기 때문에…. 세계 많은 나라들이 AI를 지금 계속 구축하길 원하고 있고 거기에 TSMC 라든가 엔비디아에만 모든 걸 의존할 수는 없거든요. 언젠가는 다 다변화해야하기 때문에 삼성한테도 기회가 저는 분명히 올 수 있다….] <br /> <br />삼성은 대내외에서 쏟아지는 우려에 '성과로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혜경 (whitepaper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12604503083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