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중국 AI ‘딥시크’ 쇼크…엔비디아 800조 증발

2025-01-28 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 스타트업의 등장으로 AI 업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. <br><br>미국 빅테크 기업의 10분의 1도 안되는 투자비용으로, 뒤지지 않는 성능의 AI '딥시크'를 개발했다는 건데, 이런 소식에 AI 대장주,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 800조 원 증발했습니다. <br><br>임종민 기자입니다. <br><br>[기자]<br>중국 기업이 지난주에 출시한 AI 앱 '딥시크'입니다. <br><br>실제로 사용해보니 수학 문제 답변이나 속도가 오픈 AI의 챗GPT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습니다.<br><br>빅테크들과 견줘도 손색이 없다는 평가에 주요 앱 장터에서 다운로드 순위 1, 2위를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 <br><br>전 세계 AI 업계에 충격을 준 건 뛰어난 성능 대비 저렴한 개발비용입니다. <br><br>중국 기업이 공개한 개발비는 약 550만 달러. <br><br>오픈AI나 구글이 투자한 비용의 10분의 1도 되지 않습니다.<br><br>[젠슨 황 / 엔비디아 CEO(지난 7일)] <br>"우리가 필요로 하는 컴퓨터의 연산량은 엄청나게 방대합니다." <br><br>미국 빅테크들이 AI개발에 지출하는 천문학적인 비용에 의구심이 제기되며 관련주들은 폭락했습니다. <br><br>'AI 대장주' 엔비디아는 약 17% 급락했고, 반도체 관련주도 폭락했습니다.<br><br>현재 수준의 AI 구현은 미국 빅테크만 가능하단 논리가 중국 AI 부상에 무너진 겁니다.  <br><br>하지만 뛰어난 성능에도 중국 AI는 한계가 있단 지적도 나옵니다.  <br><br>천안문 사태에 대해 알려달라고 하자 "이 질문에 어떻게 답해야 할지 모르겠다"며 "다른 이야기를 하자"고 화제를 전환합니다.<br> <br>다른 중국 AI 모델과 마찬가지로 중국에 민감한 주제는 자체 검열을 실시해 선택적 답변을 하는 겁니다. <br><br>출시 1주일 만에 딥시크는 사이버 공격을 이유로 신규 가입자 등록을 중단했습니다.  <br><br>채널A 뉴스 임종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임종민 기자 forest13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