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AI시장 뒤흔든 중국 '딥시크'...미·중, AI 전쟁 돌입 / YTN

2025-01-29 6 Dailymotion

국내 반도체 업계, AI 판도 변화 가능성에 ’촉각’ <br />주가 폭락 엔비디아 HBM 공급 SK하이닉스 충격 우려 <br />저성능 칩 HBM3 경쟁력 있는 삼성전자에는 호재? <br />"장기적으론 AI 생태계 저변 넓어질 것" 긍정 전망<br /><br /> <br />중국의 AI 스타트업, 딥시크가 공개한 모델이 미국 것보다 앞서면서 세계 AI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며칠 전 중국 압도를 위한 720조 원대 AI 프로젝트를 내놓은 트럼프 대통령, "미국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"며 경쟁에서 승리를 다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적 불확실성에 경제 먹구름이 잔뜩 낀 우리나라에는 그야말로 강력한 경종이 울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수 해설위원과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질문 1]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정말 세계의 모든 뉴스를 빨아들이고 있는 게 아닌가 싶은 정도인데요. <br /> <br />선두주자인 미국 AI보다 무엇이 앞선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딥시크가 지난해 12월과 지난 22일 각각 언어모델 V3와 추론모델 R1을 선보였는데 챗GPT 개발사 오픈 AI 등의 모델보다 일부 앞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에서 보시는 것처럼 딥시크 V3나 R1이 오픈 AI, 메타 AI보다 수학과 언어능력 등에서 나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성능보다 더 충격적인 건 개발비용입니다. <br /> <br />딥시크는 'V3' 모델에 투입된 개발 비용이 557만6000달러, 약 79억 원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챗GPT 개발에 1억 달러 정도 들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20분의 1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이처럼 고성능 저비용 AI 모델을 개발한 딥시크는 어떤 회사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23년 5월에 설립됐으니까 이제 2년도 못된 중국의 AI 스타트업입니다. <br /> <br />개발자는 1985년 생, 40살 량원펑인데, 중국 공학 명문대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'하이-플라이어'(High-Flyer)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해 자산을 불렸고 <br /> <br />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 GPU 5만 개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2일 공개한 딥시크-R1은 애플 앱스토어,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앱 1위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더욱 놀라운 것은 미국이 중국 AI 기술 견제를 위해 최첨단 AI 칩을 구매할 수 없는 가운데도 이뤄낸 성과 아니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딥시크 AI 모델 훈련에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성능을 낮춰 출시한 H800칩이 쓰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미국 CNN은 "미국이 지난 수년간 국가안보를 이유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종수 (js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2914313602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