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각지에서 지정학적 긴장이 커지면서 중요 인프라인 해저케이블이 잦은 공격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저케이블을 둘러싼 치열한 안보 전쟁을 윤현숙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 세계 바다 밑에는 해저케이블이 130만 km 이상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 트래픽의 95% 이상을 담당하고 하루 10조 달러가 넘는 금융거래에도 핵심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경제와 안보의 중요 인프라인 이 해저케이블이 훼손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성탄절, 닻을 내린 유조선에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를 잇는 해저케이블 6개가 끊어지는 사고가 났습니다. <br /> <br />북유럽 발트해에서 나토 회원국의 해저 케이블이 훼손된 건 지난해에만 세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제재를 피해 러시아 원유를 수출하는 일명 '그림자 함대'의 소행이라는 의심에 대해 러시아는 증거가 없다며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리아 자하로바/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: 핀란드, 에스토니아를 비롯해 유럽연합은 러시아의 사보타주 (파괴공작)으로 성급히 인정했습니다. 진짜 목적은 러시아의 석유 수출을 제한하는….] <br /> <br />증거를 찾지 못한 서방은 러시아의 공작이 아닌 사고라고 잠정 결론 내렸지만 의심의 눈초리를 완전히 거두진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대서양조약기구, 나토는 유럽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해 혼란을 부추기는 러시아의 '그림자 전쟁'에 대비해 발트해 안보 강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마르크 뤼터 /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(1월 14일) : 나토는 '발틱 센트리'를 출범시킵니다. 구축함과 해상 초계기를 운영해 발트해에서 우리의 경계를 강화시킬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군사적 긴장이 커지고 있는 타이완 해협에서도 지난 3일 중국 배경 화물선이 태평양 횡단 케이블을 훼손한 뒤 달아났습니다. <br /> <br />몇 년째 비슷한 사고가 이어지자 타이완은 물리적 파괴가 어려운 자체 위성 통신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의성 입증은 어려운 반면 무력 충돌 없이도 상대국에 큰 손실을 입힐 수 있다는 점에서 해저케이블을 노린 공격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와 중국 등 가해국으로 의심받는 나라와 해역이 맞닿은 우리나라도 피할 수 없는 문제여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윤현숙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한경희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현숙 (yunhs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3104280433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