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며 사상 처음으로 '반도체 왕좌'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AI반도체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거둔 덕입니다. <br> <br>현대차는 3년 연속 글로벌 판매 3위를 지켜냈습니다.<br> <br>조현선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SK하이닉스가 지난해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SK하이닉스는 지난해 23조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습니다. <br> <br>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지난 4분기 영업이익은 2조9천 원으로, 연간 반도체 영업이익은 15조 원에 그쳤습니다.<br> <br>SK하이닉스가 AI 반도체 핵심인 HBM 시장을 압도한 겁니다. <br> <br>반면 삼성전자는 IT 제품 수요 부진과 중국발 저가 메모리 물량 공세로 범용 메모리 가격이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습니다. <br> <br>[이종환 /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] <br>"SK하이닉스가 일단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상황인 거죠. 올 하반기나 내년에 삼성이 도약하는 기회를 만들어야 되는 거죠." <br> <br>삼성전자의 HBM 판매 확대 여부가 실적 개선의 주요 키포인트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블룸버그는 삼성전자가, 엔비디아에 5세대 HBM 8단계 공급 승인을 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삼성전자 측은 "직접 확인이 어려운 부분"이라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도 관련 언급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현대차 그룹은 지난해 도요타와 폭스바겐에 이어 글로벌 판매량 세계 3위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2022년 이후 3년 연속 같은 자리를 유지했는데, 1, 2위와 판매량 격차는 전년보다 줄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윤재영 <br>영상편집 정다은<br>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