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남성에게만 왕위 계승을 인정하는 일본 법률의 개정을 권고하자 일본 정부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국의 기부금을 유엔 산하 해당 위원회가 쓰지 못하도록 압박에 나섰는데, 일본이 성차별 개선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을 더욱 키운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지난해 10월 일본 황실의 제도와 구성을 정해둔 법률인 '황실 전범'의 개정을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성만 왕위 계승을 인정하는 조항이 여성차별철폐조약 이념에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본 정부는 왕위에 오르는 자격은 기본 인권이 아니라 성차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, 이례적으로 대응 조치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자국이 UN 인권 최고대표사무소에 내는 기여금을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쓰지 않도록 해달라고 유엔에 공식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여성차별철폐위원의 올해 일본 방문 프로그램도 보류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하야시 요시마사 / 일본 관방장관 : 이번 조치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의한 황실전범 권고에 대해 취해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일본엔 과거 메이지 시대 이전까지 모두 8명의 여성 일왕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4월 교도통신 여론조사에는 응답자의 90%가 여성 일왕에 찬성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언론들은 이번 대응 조치가 유엔 중심주의를 내건 일본 외교의 신뢰를 훼손한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에서 '부부별성' 도입도 쟁점이 돼 온 상황에서 양성 평등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타무라 토모코 / 일본 공산당 대표 : 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권고는 왕실에 관한 것만이 아닙니다. 선택적 부부 별성, 이에 따른 문서 작성 등 여러 여성 권리에 대한 권고를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한 유엔의 반응과 관련해 외교상 교섭 문제라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 /> <br />기여금 압박 카드까지 꺼내 든 일본이 양성평등을 위한 노력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이 더욱 부각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13123100992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