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미국 빅테크보다 앞선 모델을 내놓아 그 비결에 전 세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 총력 지원과 인재 전술 등이 비결로 손꼽히는데 정치 불확실성에 의대로 인재가 몰리는 우리 현실을 보면 AI 경쟁서 글로벌 비주류로 밀리지 않을까, 걱정이 앞섭니다. <br /> <br />이종수 해설위원과 짚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게 중국 스타트업이 어떻게 미국의 갖가지 통제를 뚫었나 아니겠습니까? <br /> <br />[이종수] <br />그 비결을 살펴보기 전에 미국의 어떤 통제가 있었는지 간략히 볼까요? <br /> <br />미국 정부는 AI 고성능 반도체 중국 수출을 통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엔비디아의 최첨단 H100 수출을 막고 저성능 H800 이 수출됐죠. <br /> <br />미국은 극자외선(EUV) 노광장비 등 첨단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장비도 봉쇄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중국에 군사와 감시용 AI 시스템 등 관련 기술 투자를 전면 금지하거나 제한했죠 <br /> <br />이처럼 미국은 AI 핵심 최첨단 반도체, 장비, 기술에 걸쳐 전방위로 5년 동안 통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도 창립 2년도 안 된 스타트업 딥시크가 성능과 개발비용에서 앞서는 모델을 어떻게 내놓을 수 있었던 겁니까? <br /> <br />[이종수] <br />딥시크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를 몰래 확보했을 것이라는 의혹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이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조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만 이와는 별개로 <br /> <br />딥시크는 중국 화웨이(반도체 설계)와 SMIC(반도체 위탁생산)가 손잡고 내놓은 중국산 AI 반도체 '어센드(Ascend)'시리즈를 대량으로 활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센드는 2023년에 출시됐는데 910B는 엔비디아 A100의 80% 수준이면서 가격은 30%에 불과해 개발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 장비의 경우에도 국산화율을 높여왔고 지난 3년 동안 반도체 장비회사를 집중적으로 지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은 전체주의 국가답게 국가가 직접 기술 지원에 앞장서고 있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이종수] <br />중국은 미국의 기술 투자 제한에 맞서 64조 6천억 원 규모 반도체 펀드를 조성해 지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국가 지원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딥시크는 우리나라, 미국에선 상상하기 어려운 중국인 14억 명 데이터를 느슨한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덕으로 주요 인터넷 플랫폼에서 손쉽게 확보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종수 (js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20215022232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