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여당은 헌법재판소를 향해 집중포화를 쏟아냈습니다. <br> <br>마은혁 후보자 뿐만 아니라 내일 있을 권한쟁의 심판 자체에 하자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마 후보자 임명은 안된다고 결사반대하고 나섰습니다.<br> <br>반면 야당은 선택적 재판관 임명은 헌정 파괴 행태라고 반발했습니다.<br> <br>이준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은 권한쟁의심판에 심각한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청구인이 '국회'로 돼 있지만 국회 의결 절차를 밟지 않았다며 우원식 국회의장을 맹비난했습니다. <br> 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'국회의원 우원식'이 독단적으로 '국회'를 참칭한 초법적 권력남용입니다. CEO가 주총이나 이사회 결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자기 월급을 올린 것이나 다름없습니다." <br> <br>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해선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 결론이 나기 전까지 임명을 보류하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"한 총리 탄핵이 무효화 되면 최 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은 정당성이 무너진다"는 겁니다.<br><br>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도 "우원식 국회의장이 국회의 이름으로 권한쟁의 심판을 청구했지만 국회 의결이 없었다"며 절차적 하자를 지적했습니다.<br> <br>[윤상현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우원식 의장의 개인의 권한이 침해당한 게 아닙니다. 전체 국회의원이 참석한 본회의 의결 절차가 반드시 수반돼야…." <br> <br>야당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이용우 더불어민주당 법률위원장은 "국회의장의 판단에 따라 국회 명의로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"며, 과거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고 반박했습니다.<br> <br>[김윤덕 /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] <br>"내일 사법부는 최상목 대행의 헌정 파괴 행태에 제동을 걸어야 합니다. 선택적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단호한 판결로…." <br> <br>국민의힘 관계자는 "최 대행이 임명을 보류하더라도 민주당은 역풍을 우려해 탄핵하지 못할 것"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