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보조 배터리, 직접 들고 타라지만...딜레마 빠진 국토부 / YTN

2025-02-07 0 Dailymotion

에어부산 일부 노선, 탑승 전에 배터리 있는지 확인 <br />탑승구에서 보조 배터리 넣지 않은 짐에 별도 표식 <br />국토부, 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강화 방안 고심 중 <br />배터리와 화재 원인 간 명확한 인과 관계 밝혀져야<br /><br /> <br />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이후 국내 항공사마다 보조 배터리를 직접 들고 타라고 하는 등 관리가 강화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때마침 정부도 관련 대책을 검토 중지만 보조 배터리를 들고 탄다고 안전한 것도 아닌 만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객기 화재 사고 원인으로 보조 배터리가 거론되자 에어부산은 탑승 전에 배터리가 있는지 확인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탑승구에서 보조 배터리를 넣지 않은 짐에만 별도 표식을 하고 해당 짐만 기내 선반에 보관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[이현민 / 에어부산 전략경영팀 차장 : 탑승객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유사시에는 신속하게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….] <br /> <br />제주항공도 보조 배터리를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한다는 내용에 동의하는 절차를 탑승 수속에 추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국내 항공사마다 보조 배터리 관리를 강화하고 있지만 강제성이 없다는 점에서 한계도 분명합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배터리를 선반이 아닌 손에 들고 탄다고 안전한 것도 아닙니다. <br /> <br />좌석 틈새로 빠지면 압력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최근 늘어나고 있는 난기류 같은 상황에선 손에 들고 있는 게 더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내 반입 규정 강화 방안을 검토 중인 국토부도 이런 점들로 인해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에어부산 화재 원인이 배터리라는 명확한 인과 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관련 규정을 강화하면 혼선을 일으킬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뾰족한 대안을 찾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상황. <br /> <br />[이용재 /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: 장기적으로 보조 배터리 제조나 유통에서 철저한 관리가 있어야 하고 (단기적으로) 1인당 하나, 대용량은 너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니 기준을 정해서 반입을 금지하는….] <br /> <br />무엇보다 승객들의 여행 편의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 적절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정욱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20805181550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