입춘 한파가 한주 내내 이어지더니, 오늘 아침 한강이 이번 겨울 들어 처음으로 공식 결빙됐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2번째로 늦은 결빙 기록인데, 한강을 얼린 한파는 더 오래가지 않고 이번 주 점차 약화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동작대교와 한강대교 사이 강 가장자리부터 한 가운데까지 폭넓은 얼음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영하 10도를 밑도는 '입춘 한파'가 한주 내내 기승을 부린 탓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서울은 지난 4일 이후 닷새가량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를 유지하고 한낮 기온도 영하권에 머물며 때늦은 한파가 오래 지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엿새째 아침, 서울 기온은 전일보다 높은 영하 9.6도로 한파 막바지에 이르렀지만, 공식 결빙 구역은 오랜 추위를 이기지 못하고 뒤늦게 흐름을 멈췄습니다. <br /> <br />겨울철 한강 결빙을 공식화하는 관측 지점은 한강대교 노량진 방향 두 번째에서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 100m 지점으로 공식 결빙은 이 부근에 두꺼운 얼음이 만들어져 흐르는 물이 보이지 않을 때 선언합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올해 한강 공식 결빙이 지난해보다 14일, 평년보다 30일이나 늦었는데 <br /> <br />특히 올해 겨울은 예년보다 기온이 높았던 데다 한파 경보 수준의 긴 한파도 뒤늦게 찾아와 공식 결빙이 역대 2번째 수준으로 늦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지혜 / 기상청 통보관 : 한강 결빙 관측이 시작된 1906년 이후 가장 늦은 결빙 기록 1위는 1964년 2월 13일 입니다. 그리고 올해 2월 9일 한강 결빙이 역대 2번째로 늦은 결빙으로 기록됐습니다.] <br /> <br />때늦은 한강 결빙을 몰고 온 한파의 기세는 더 오래가지 않고 점차 약화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에는 기온이 오름세로 돌아서기 시작해 평년 기온을 회복하고, 한낮에도 영상권을 되찾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정월 대보름이 있는 수요일엔 강수가 예상되는데 눈보다 비나 진눈깨비로 내리는 곳이 많겠고, 이후 드러날 정월 대보름 달은 비가 일찍 그치는 시점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공상민 / 기상청 예보분석관 : 12일(정월대보름)입니다 기압골의 이동속도에 따라서 그리고 뒤따라오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이동속도와 강도에 따라서 12일 날 밤 날씨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기압골이 빨리 빠진다면 북쪽부터 날씨가 좋아지면서 보름달을 볼 수 있겠고….] <br /> <br />이후 이달 하순부터 3월까지는 예년보다 대체로 기온이 높아 계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5020913531765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