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 제품에 대한 25% 관세를 발표하면서 세계 주요 철강 생산국이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우방인 호주에는 관세를 면제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여러 국가가 미국에 공동 대응하기보다는 미국과 일대일로 협상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전날 트럼프는 관세 포고문 서명식에서 주요 철강 생산국 중 호주에 대한 관세 면제를 "많이 고려하겠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아르헨티나의 경우에도 트럼프가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과의 친분을 내세워 배려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캐나다와 일본은 미국과 협상에 나선 가운데, 멕시코는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과 협상할 예정이며, 우리 정부도 다가오는 고위급의 방미를 계기로 미국 정부와 협의에 나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의 대변인은 미국의 철강 관세와 관련해 "우리는 세부 내용을 처리하기 위해 미국 측과 협의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"EU에 대한 부당한 관세에 대응하겠다"고 밝혔지만, EU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 전에 먼저 협상을 시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가 이번에 발표한 철강 관세는 사실 새로운 관세라기보다는 1기 때 시행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보완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2018년 트럼프는 철강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할 정도로 크게 늘었다면서 미국의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25%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미국과 안보 관계가 있는 경우 안보 위협을 해소하는 "대안적 합의"(alternative agreement)를 통해 관세를 피해 갈 수 있게 했는데 이렇게 한국이 가장 먼저 관세를 면제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한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가 동시에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고, 각국 대표단이 워싱턴DC에 몰리면서 미국 통상 당국을 만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한국은 트럼프의 관심사인 한미 FTA 재협상과 철강 관세 문제를 일괄 협상한 결과 25%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대미 철강 수출을 2015∼2017년의 70%로 제한하는 쿼터를 수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1기 행정부는 아르헨티나, 호주, 브라질, 캐나다, 멕시코에 대해서도 관세 면제와 쿼터 등에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들어선 바이든 행정부는 유럽연합과 일본, 영국과 협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21209091712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