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보조배터리가 지목되면서, 정부가 안전관리에 칼을 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보관하지 못하도록 하고 반입 개수도 5개로 제한하는 한편 전자담배도 관리 대상에 포함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부터 달라지는 안전관리 방안을 박기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내 보조배터리 안전관리 방안의 핵심은 대상은 확대하고, 절차는 강화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모두 기내에 가지고 타야 하고 머리 위 선반 대신, 좌석 주머니 등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유경수 /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 : 연기 발생, 과열 또는 부풀어오름 등 이상 징후 발생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승객이 몸에 소지하거나 항공기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탑승 전 사전 준비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보조배터리 충전 단자가 금속성 물질에 닿았을 때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막기 위해 앞으로는 단자에 덮개를 씌우거나, 단자 부분을 절연테이프로 막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여의치 않을 때는, 비닐 봉지에 별도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내 반입 가능한 배터리 충전 용량과 개수도 제한됩니다. <br /> <br />160와트시 이하의 보조배터리에 한해, 항공사 승인을 거쳐, 기내에 가지고 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 보조배터리의 경우 대부분 100와트시 이하에 해당합니다. <br /> <br />혹시 모를 화재를 막기 위해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없지만, 휴대전화와 노트북 등 자체적으로 합선 등 방지장치가 내장된 경우에만 충전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부터 시행되는 이번 안전 관리 방안은 우리 국적 항공사에 국한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보조배터리와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의 연관성이 확인되면, 국제민간항공기구 등에 요청해 외항사까지 안전관리 대상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기완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;정철우 정진현 <br />디자인;정은옥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2132109242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