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12·3 비상계엄’과 관련해 ‘북풍 유도’ 논란에 휘말렸던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이 19일 정상적으로 이뤄졌다. 계엄 사태 후 처음으로 실시된 훈련이다. 군 당국은 이런 외풍에 영항 받지 않고 군사대비태세의 완결성을 위한 훈련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. <br /> <br />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서북도서방위사령부(서방사) 예하 해병대 제6여단과 연평부대는 이날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K9 자주포를 동원해 1분기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. 250여발이 불을 뿜은 이번 훈련은 서해 북방한계선(NLL) 방향이 아닌 한국 해역의 가상 표적을 겨냥했다. <br /> <br /> 합참 관계자는 “전투준비태세 유지 차원에서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방어적 성격의 훈련”이라며 “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감독위원회 소속 국제참관단이 참관해 정전협정 규정을 준수한 가운데 시행했다”고 말했다. 해병대는 사격훈련 간 주민 안전을 위해 항행경보 발령, 주민간담회, 안전문자 발송, 훈련 안내 방송, 주민대피 안내조 배치 등 대국민 안전조치도 취했다. <br /> <br /> 서북도서 훈련은 북풍 유도설의 진원지로 꼽혔다는 점에서 주목 받았다. 수사당국이 확보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수첩에서 “NLL에서 북 공격을 유도”라는 표현이 발견되면서다. <br /> <br /> 지난해 군 당국은 4차례 해당 훈련을 벌였다. 1월 5일 북한이 서해 NLL 인근 완충구역(적대행위 금지구역) 내에서 해상사격을 하자, 대응 조치로 우리 해병대도 일회적으로 서북도서 사격훈련을 실시했다. 2018년 ‘9·19 군사합의’ 이후 약 7년 만의 훈련이었다. 서북도서 훈련은 같은 해 6월 정부가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결정한 뒤 분기당 한 번꼴로 정례화돼 6월은 물론 9월, 11월에도 열렸다.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15131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