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무역적자’ 앞세워 관세 폭격 나선 트럼프 <br />대미 무역흑자 축소 관건…미국산 LNG 수입 거론 <br />대미 투자도 협상 카드…신규 투자 결정은 ’신중’<br />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반도체 관세 부과 시점을 앞당기겠다고 으름장을 놓으면서 우리 정부와 기업은 더 다급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러 나라가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을 사기 위해 발 벗고 나선 가운데 우리나라가 내밀 수 있는 협상 카드는 뭔지, 최아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 관세 폭탄의 가장 큰 명분은 '무역적자'입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1기 당시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흑자는 179억 달러였는데 지난해에는 557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가장 많이 언급되는 대안은 액화천연가스, LNG 수입 확대입니다. <br /> <br />LNG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만큼 중동·호주산을 미국산으로 대체하는 카드를 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공들이는 사업이자 미국 측에서 참여를 제안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도 협상책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장상식 /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: 사업 타당성 검토, 그다음에 상업적 가치, 손익 분석 이런 것까지 함께 먼저 이뤄져야 정부나 기업도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지 않을까…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일찌감치 러브콜을 보낸 조선업도 협상 지렛대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양 패권을 중국에 내줄 처지에 놓인 미국은 함정 건조 등 조선업 재건에 힘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지훈 /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 (어제) : 미국과 협력해 (역내 안보 도전에) 대항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대놓고 원하는 대미 투자도 우리가 내밀 수 있는 카드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우리 기업들이 이미 바이든 정부 때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만큼 추가 투자 결정은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(트럼프 대통령 임기)4년 중의 3년을 미국에서 공장을 짓고 있을 거면 관세 효과만을 위해서 미국에 공장을 확장한다는 건 별로 수지가 맞지 않는 장사 같아요.] <br /> <br />대신 대미 수출 증가는 미국 현지에 공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기계나 설비 반입이 늘면서 발생한 '투자 유발형'이라고 설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관세 폭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내줄 건 내주고 그 속에서 실리를 찾아야 한다는 게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각국 정상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상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아영 (cay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22117242273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