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파는 걸 공매도라고 합니다. <br> <br>하락장에서 수익을 내는 투자기법인데요. <br> <br>우리 증시에서 중단됐던 공매도가 다음 달 31일부터 재개됩니다. <br> <br>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김세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다음달 31일부터 공매도가 전면 재개됩니다. <br> <br>국내 증시에 상장된 전종목에 공매도가 가능해진 건 2020년 이후 약 5년 만입니다. <br><br>공매도란 가격이 떨어질 것 같은 주식을 빌려서 판 뒤 나중에 해당 주식을 사들여 차익을 얻는 거래 형태를 말합니다. <br><br>예컨데 한 주에 만 원인 종목이 오천 원으로 떨어질 것을 예상해, 미리 주식을 빌려 만 원에 팔고 주식 가격이 떨어지면 반값에 다시 구매해 오천 원의 이익을 얻는 겁니다.<br> <br>하지만 2023년 11월,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대규모 불법 공매도가 적발되면서 1년 넘게 전면 금지돼 왔습니다. <br> <br>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 완전폐지까지 주장했지만,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금융당국이 공매도 재개를 결정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이번 결정에 따라, 국내 증시를 떠났던 해외 자금이 유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반면, 일부 종목에 공매도가 집중되며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김병환 / 금융위원장] <br>"공매도가 재개될 때 시장에 영향이 어떨 거냐 하는 부분은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영향을 미치더라도 과거 사례나 이런 걸 봤을 때 단기적일 거다." <br> <br>금융당국은 한시적으로 공매도 과열종목 기준을 완화해 시장 충격을 방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세인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승훈 <br>영상편집: 석동은<br /><br /><br />김세인 기자 3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