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국토교통부가 붕괴 사고로 10명의 사상자를 낸 안성 고속도로 현장과 같은 공법을 쓴 고속도로 공사를 중지시켰다. 안전성 검증을 거친 뒤 공사를 재개하도록 할 방침이다. 교량 붕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본격화하고 있다. <br /> <br /> 26일 국토교통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사고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‘사고조사위원회’를 구성해 사고 원인과 과실 여부 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.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고, 경기남부경찰청은 78명 규모의 수사 전담팀을 편성했다. <br /> <br /> 우선 관심은 이번 사고가 기술적ㆍ구조적 원인인지, 단순 과실 또는 관리 부실인지에 모인다.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을 맡은 해당 현장공사 하도급업체는 장헌산업이다. 이 업체가 개발한 ‘DR거더(대들보) 공법’은 2009년 국토부 신기술로 지정돼 그간 많은 교량 공사에 활용됐다. 2020년 신기술 보호기간이 만료돼 다른 업체도 이 공법을 활용한다. 교량 상판에 올리는 거더를 현장에서 특수 장비를 이용해 조립하는 방식이다. <br /> <br /> 전문가들은 이번 공사에 활용된 공법이 공기를 단축하는 등 경제적으로 우수하지만 사고도 적잖게 발생한다고 지적했다. 한 국책연구원 관계자는 “이 공법은 거더가 넘어지면 거더를 지지하는 강선이 끊어지며 사고를 키우는 단점이 있다”고 했다. <br /> <br /> <br /> DR거더 공법을 활용하고 있는 고속도로 공사현장은 전국에 3곳이다. 국토부는 같은 공법을 적용한 일반국도 건설현장이 어디인지는 파악 중이다. 우선 각 지방 국토관리청에 DR거더 공법을 사용한 공사현장의 공사를 중지하라고 지시했다. 이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1670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