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'독재자'라고 해 논란이 됐죠. <br> <br>눈 하나 꿈쩍않고 그런적 없다고 말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태연히 말을 뒤집은 데는 다 셈법이 있다는 해석도 나오는데, 워싱턴 최주현 특파원이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앞두고 기자들과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. <br> <br>자신이 지난주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'독재자'로 불렀던 일을 태연하게 발뺌합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(여전히 젤렌스키를 독재자라고 말할 겁니까?) 제가 그렇게 말했나요? 제가 그 말을 했다니 믿을 수 없네요. 다음 질문 하세요." <br> <br>트럼프는 지난 19일 자신의 SNS에 지난해 말 임기가 끝났지만 전쟁 때문에 대선을 못 치른 젤렌스키를 향해 '독재자'라고 표현했습니다.<br> <br>트럼프는 같은 자리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% 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 하루 만에 말을 바꿉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현지시각 그제)] <br>"4월 2일에 하기로 했습니다. 관세가 부과될 겁니다."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현지시각 어제)] <br>"3월 4일에 관세가 부과됩니다." <br> <br>같은 관세에 대해 트럼프는 지난달 취임 직후 2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했다가 며칠 뒤 3월 4일로 한 달 유예하기도 했는데, 계속 시점이 바뀌는 겁니다. <br><br>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이런 발언이 "협상 전략일 수 있다"면서 "트럼프가 모순된 일정과 상충된 발언으로 혼란을 주고 있다"고 분석했습니다. <br><br>미국 현지 언론들은 미국 대통령의 발언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이곳 워싱턴 DC로 몰려드는 각국 외교라인들이 더욱 복잡한 상황으로 내몰렸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