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달 국세수입이 반짝 증가했습니다. <br> <br>직장인들 근로소득세가 많이 걷힌 건데요. <br> <br>정부는 1월에 성과급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하지만, 나라곳간을 직장인 유리지갑으로 채운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배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올해로 대기업에 다닌 지 4년 차가 되는 직장인 A 씨.<br><br>연말정산을 통해 추가로 내게 된 세금만 4백만 원이 넘는데, 지금까지 추가 납부액 중 가장 많습니다. <br> <br>[A 씨 / 4년 차 직장인] <br>"제가 성과급을 3번을 받았는데, 비중으로 따지면 세금 비중이 이번이 제일 높고 성과급은 더 나아지지 않는 것 같고 하니까 힘들죠. 유리지갑인데 다들." <br> <br>근로소득세가 늘어나면서 지난달 소득세는 1년 전보다 7천억 원 가까이 더 걷혔습니다. <br> <br>전체 국세수입 중 소득세는 30% 가까이 됩니다.<br> <br>반면, 법인세 비중은 6%도 채 되지 않아 5배나 차이 납니다. <br> <br>직장인 성과급으로 곳간을 채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> <br>지난해에도 근로소득세는 처음으로 60조 원을 넘어서며 총 국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법인세와 비슷해 직장인들의 유리지갑만 턴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경기 침체로 줄어든 세수를 근로자 세 부담으로 메우는 상황이 이어지면서, 세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김대종 /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] <br>"전체 세수에서 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이렇게 높다는 것은 좋은 현상은 아니고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, 소득세율 자체도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축에 속하고 있다." <br> <br>정부는 지난달은 성과급이 있어 소득세 비중이 높았던 것이라며 세수 비중은 연간으로 보아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배정현 기자 baechewi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