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출생으로 인한 사회 문제를 겪고 있는 가운데, 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9년 만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가운 소식이지만, 지속적 지원이 없다면 일시적인 깜짝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재작년 대한민국의 가임여성 한 명당 기대되는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0.72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로, 4분기에는 0.65명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이 수치가 반등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.75명으로, 9년 만에 반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[주형환 /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(지난달 26일) : 이번 반등으로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킬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정부 정책이 점차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는….] <br /> <br />문제는 소폭 반등으로 기뻐하기에는 여전히 저출산 상황이 심각하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2022년 기준 OECD 평균 합계출산율인 1.51명과 비교하면 여전히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. <br /> <br />출생아 수가 점점 줄다 보니 학령인구도 줄어, 올해 폐교하는 학교만 전국에 49곳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각종 정책과 예산을 투입해 반등을 이끌어 냈지만, '반짝 현상'에 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 차원의 지속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[정재훈 /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: 비용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복지 국가 전략으로서 해결해야 되겠죠.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 사회적 교육 돌봄 체계를 확립하고…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과도한 경쟁구도, 노동시장 이중구조, 사교육 문제 등 구조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지만 출산율의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0205100655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