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노인들이 생각하는 ‘노인 나이’?

2025-03-03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정부가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노인 연령 기준을 65세에서 높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죠. <br> <br>어르신들이 생각하는 노인의 나이는 몇 살일까요. <br> <br>김민환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 <br><br>[기자]<br>서울 청계천에서 47년째 공구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재하 씨. <br> <br>일을 그만둔다는 생각은 해본 적 없습니다. <br> <br>[김재하 / 73세] <br>"체력은 문제 되지 않는데. 잘하면 한 10년 일할 수 있지 않을까." <br> <br>기대 수명뿐만 아니라 경제활동 참여도 늘면서 노인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. <br> <br>만 65세 이상 서울 시민 3100명에게 물었더니 노인 시작 연령을 70대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고, 평균은 72.6세였습니다.<br> <br>[장혜숙 / 68세] <br>"노인(연령)이라는 게 65세부터 정하니까 창피한 그런 느낌이 들었어요. '우리가 뭐 벌써 노인이야?'" <br> <br>[서영희 / 67세] <br>"악기를 다루고 버스킹을 나갈 때는 내가 내 나이라고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." <br> <br>지하철 무료 이용 연령을 더 올리자는 의견도 노년층에서 더 많았습니다. <br> <br>80대 이상과 70대의 찬성률이 모두 70%를 넘어 20대보다 높게 나온 겁니다.<br><br>청년 세대에 부담이 된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.<br><br>[고광철 / 86세] <br>"모든 비용을 젊은 사람들이 내야 되니까. 그게 부당하다는 거지." <br> <br>선결 과제는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[정순둘 /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] <br>"(노인) 빈곤 문제가 굉장히 심각한데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. 빈곤 노인에 대한 해결 없이 이제 가기는 쉽지 않다…." <br> <br>세심하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이유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추진엽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