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연휴에도 헌법재판관들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기록을 검토하며 숙고를 거듭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내일부턴 다시 재판관 전원회의, 평의가 재개되는데요. <br><br>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때처럼 이번에도 만장일치 결론이 가능할 지도 관심입니다. <br> <br>이새하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은 헌법재판관 8인의 만장일치로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[이정미 / 당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(2017년 3월)] <br>"이에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을 선고합니다. 주문,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." <br> <br>연휴 기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기록을 검토한 8인의 헌법재판관들은 내일부터 평의를 재개합니다. <br> <br>가급적 만장일치 선고를 염두에 두고 평의를 통해 이견 좁히기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재판관들은 탄핵 인용, 기각 여부를 떠나 헌재 내부 의견이 갈렸을 때 심판 결과에 대한 불복이나 사회 분열이 심해질까 봐 우려하는 분위기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헌재는 이번 탄핵심판에서도 논란의 소지가 있는 대목마다 "재판관들의 일치된 의견"을 앞세워 돌파해 왔습니다. <br> <br>[문형배 /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(지난달 11일)] <br>"전원일치로 이 결정에 법령 위반의 사유 발견되지 않는다고 봤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탄핵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던 박 전 대통령 때와 달리, 윤 대통령은 탄핵 반대 여론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고 주말 장외 집회 등으로 적극 표출되고 있다는 점은 변수입니다. <br> <br>여론이 심판 결과를 좌우하지는 않더라도, 만장일치에 대한 헌법재판관들의 부담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새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남은주<br /><br /><br />이새하 기자 ha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