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매긴지 하루 만에 자동차에 대해선 한 달간 유예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자국 자동차 회사들의 요청을 잠시 받아들여 준 겁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조아라 특파원이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%의 관세를 부과한 지 하루 만에 이들 국가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한 달 간 관세를 면제키로 했습니다. <br> <br>멕시코에 생산 공장을 대거 지어놓은 미국의 '빅3' 자동차 업체 GM, 포드, 스텔란티스 대표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"미국 투자를 확대하겠다"며 유예를 요청한 데 따른 것입니다.<br> <br>[캐롤라인 레빗 / 백악관 대변인] <br>"(관세) 면제는 없습니다. 생산을 관세를 내지 않는 미국으로 옮기세요. 그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." <br> <br>이번 결정은 '자국 산업 보호' 차원으로 해석 됩니다. <br> <br>로이터통신은 "공화당 지지자들이 많이 타는 픽업트럭의 경우 3분의 1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고 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백악관도 미국 산업에 영향을 미친다면 다른 품목도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. <br><br>블룸버그 통신은 이미 칼륨, 비료와 같은 특정 농업 관련 제품도 관세 면제 후보라고 전했습니다.<br><br>트럼프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50분 간 통화한 사실을 공개했는데, "불법 이민과 펜타닐 문제 대응 노력이 부족하다"며 트뤼도를 여전히 미국 '주지사'라고 조롱했습니다.<br> <br>캐나다는 결국 미국을 세계무역기구 WTO에 공식 제소했습니다. <br><br>[쥐스탱 트뤼도 / 캐나다 총리 (현지시간 그제)] <br>"도널드, 당신이 매우 똑똑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사람들은 (관세 부과가) 매우 어리석은 짓이라고 지적합니다." <br> <br>월스트리트저널은 "매 순간 긴장감을 주는 관세 폭격이 경제적 불확실성과 투자 둔화를 초래하고 있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><br>뉴욕에서 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