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5명을 다치게 한 6일 공군 전투기의 공대지 폭탄 오폭 사고는 조종사의 표적지 좌표 입력 실수 때문이었다고 군 당국이 밝혔다. 최초 좌표 입력-전투기에 좌표 연동-비행 중 육안 확인 등 세 단계에 이르는 좌표 확인 절차를 조종사 1명에게 오롯이 맡기는 방식이 결국 군 폭탄이 민가를 덮치는 최악의 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. <br /> <br /> 이날 오전 경기도 포천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, 군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“조종사가 비행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좌표를 입력했다는 점이 조종사 진술 등으로 확인했다”고 밝혔다. 한·미 군 당국은 이날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다음주 진행되는 ‘자유의 방패(Freedom Shield·FS)’ 연합연습의 전초전 성격으로 ‘연합·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’을 실시했다. <br /> <br /> 해당 훈련에서 공군의 KF-16 5대는 각기 2대, 3대로 편조를 이뤄 1대당 MK-82 포탄 네 발씩을 투하할 예정이었다. 그러나 KF-16 2대가 아예 훈련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. 잘못된 좌표가 안내하는 지점으로 향한 것이다. 이들은 표적지가 있는 훈련장에서 8㎞ 떨어진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민가에 포탄을 떨어뜨렸다. <br /> <br /> 공군 전투기가 훈련 중 오폭해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. 2004년 공군 F-5B 전투기가 충남 보령에서 연습용 폭탄을 오폭했지만, 다친 사람은 없었다. <br /> <br /> 공군은 조종사가 훈련 전날 처음 좌표를 입력할 때부터 숫자를 잘못 타이핑했다고 보고 있다. 비행에 앞서 조종사는 사무실에서 임무 좌표를 부여받고 이를 임무 계획 장비에 입력하는데, 첫 번째 단계인 해당 과정부터 실수했다는 의미다. <br /> <br /> 이를 바로잡을 기회도 놓쳤다. 조종사는 두 번째 단계로 비행 직전 해당 장비를 전투기에 꽂고, 이후 나타나는 좌표가 휴대한 임무계획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. 비행 중, 또 투하 직전에도 육안으로 제대로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18845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