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의 52일 만의 석방 소식에 정치권도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선고가 임박한 탄핵심판부터 혹시 모를 조기 대선까지 여러 선택지에 이른바 '관저 정치'가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25일 헌재 최후 변론 뒤 직접적인 메시지를 자제해 온 윤 대통령, 석방된 만큼 편지나 SNS 등을 통한 관저 메시지 정치가 가능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임박한 헌재 탄핵 심판 선고 전 막판 여론전에 집중할 수 있단 관측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여당 역시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으로 적법절차 원칙의 중요성이 드러난 만큼 헌법재판소도 국민 눈을 의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기대감을 거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탄핵 각하 가능성 주장을 넘어, 법원 결정으로 공수처 수사권한의 모호성이 화두가 된 만큼 관련 조서나 증거 자료를 빼고 다시 변론을 열어야 할 수도 있단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기현 / 국민의힘 의원 : 헌법재판소는 사기 탄핵을 즉시 각하하여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해 국정안정을 꾀할 수 있도록….] <br /> <br />관저 정치 여부는 혹시 모를 조기 대선 정국의 주요 변수로도 꼽힙니다. <br /> <br />탄핵이 인용되더라도 외부 활동이 가능해진 만큼 탄핵 반대 여당 의원과 강성 지지층을 규합해 영향력 발휘에 나설 수 있단 겁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콘크리트 지지층을 기반으로 여권 잠룡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거란 해석도 나오는데, 조기 대선 정국에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단 기류도 감지됩니다. <br /> <br />국민 통합 대신 특정 지지층 겨냥 발언이 잇따를 경우 대통령 개인이나 계엄 옹호로 비쳐 중도 확장에 악재로 작용할 거란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 민주당도 대통령과 여당을 싸잡아 비난하며 윤 대통령과의 절연 문제를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찬대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국회는 국회가 해야 할 일을 하겠습니다. 내란의 완전한 종식을 위해 국민과 함께 싸워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당내 일각에선 탄핵에 찬성하는 60%를 자극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, 또 대통령이 임기단축 개헌 같은 구상을 밝히거나 당과 선을 그어주는 메시지를 내길 기대하는 의견도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여당은 일단 대통령이 직무정지 상태이니만큼 재판 대응에만 집중하지 않겠느냐며 당은 당대로 일하겠다는 입장인데 안갯속 정국에 또 하나의 변수가 추가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다연 (kimdy081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30822474474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