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인도에서는 유행에 따라 빨리 바꿔 내놓는, 이른바 '패스트패션'이 인기를 끌면서 환경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도의 전통 의상인 '사리'를 입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전통 직물을 생산하는 산업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데요. <br /> <br />자세한 소식, 김성미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패스트패션이 유행하면서 인도의 의류 산업에도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전통 의류인 '사리'는 점차 입는 사람이 줄어들어 도심에서는 '사리'를 입은 사람을 찾아보기 힘듭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직물 생산 지역인 수랏에서 10년 전만 해도 직물의 약 80%가 사리 제작에 사용되었으나, 현재는 40%로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도 도시의 사리 수요는 50%나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리 제조 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유행에 따라 빠르게 생산돼 유통되는 '패스트패션'을 선호하면서 사리 시장이 계속 축소될 것으로 전망합니다. <br /> <br />[조티 스와로프 / 인도 시민 : 인도인들이 좋은 품질의 옷을 저렴하게 구매할 기회를 얻을 수도 있지만, 반대로 인도 섬유 산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섬유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과도한 옷 수입에 대해 언쟁을 벌이곤 합니다.] <br /> <br />패스트 패션은 인도인의 옷차림만 바꾼 것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인도 수도 델리 인근에서는 쓰레기 더미를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면이나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진 옷은 완전히 분해되는 데 200년 이상이 걸리고, <br /> <br />매년 전 세계 옷 폐기물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는 무려 17억 톤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의류 쓰레기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잇따르면서 최근 인도에서는 버려진 옷을 활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의류 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사잔 비르 아브롤 / 클로스 박스 대표 : '포괄적 순환성'이란 헌 옷의 섬유 조직을 재사용해서 다시 시장에 내놓는 것을 말합니다. 또한, 불우한 여성들을 교육하고, 기술을 가르칩니다.] <br /> <br />클로스 박스는 올해로 11년째 유럽과 미국에서 버려진 의류를 들여와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지속 가능한 패션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사잔 비르 아브롤 / 클로스 박스 대표 :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것들은 리사이클 시설에서 섬유로 전환 시킵니다. 전환된 섬유는 실로 만들어집니다. 저희는 실로 다시 천을 만듭니다. 그것이 재활용 천이며 그것으로 지역사회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성미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30903060800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