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에서 봉준호 감독의 신작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><br> 미국에서 만들어지긴 했지만 한국 감독의 영화가 중국에서 개봉된 건 4년 만인데, 세계적 거장으로 인정받는 봉 감독의 작품을 시작으로 한한령이 완화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 이윤상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베이징의 한 영화관. <br><br>20명 안팎의 관객들이 상영관에 앉아 있습니다. <br> <br>이들이 기다리는 것은 봉준호 감독의 5년 만의 신작인 SF영화 '미키17'입니다.<br> <br>중국의 비공식적 한류 제한 조치인 이른바 '한한령' 이후 중국 상업 영화관에 한국 영화가 개봉된 것은 2021년 '오! 문희' 이후 4년만입니다. <br> <br>상당수의 관객들은 미키17을 관람한 이유가 봉준호 감독 때문이라고 말합니다.<br> <br>[중국인 관객 A] <br>"감독 때문에 왔어요. 봉준호 감독 영화를 전에 몇 편 본 적 있는데 모두 평이 좋았어요." <br> <br>[중국인 관객 B] <br>"영화 기생충을 전에 봤는데 매우 좋았어요. 그래서 이번에도 보고 싶었어요." <br> <br>현재 미키17은 약 22억 원의 흥행 수익을 거두고 있습니다. <br><br>중국 박스오피스 순위에서도 '톱 텐' 안에 드는 등 최근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2편이 20위권에 머무는 것과 대조적입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의 대중 관세 전쟁으로 '반미'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는데 '미국 자본'으로 제작된 한국 감독의 영화가 상영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[김기헌 / 한국콘텐츠진흥원 북경센터장] <br>"(중국에서) 봉준호 감독 영향력이 있기 때문이고, 이게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이고 힘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일각에서는 한중 관계 개선 분위기와 함께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>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: 박혜린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