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렴한 건강기능식품 판매로 화제를 모은 다이소, 그러나 약사회의 반발로 납품을 중단하는 제약사도 생겼는데요. <br /> <br />공정위가 대한약사회를 현장 조사하며 '갑질 의혹' 확인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다이소와 약사회의 갈등 속에 일부 편의점까지 건강기능식품 판매에 나서면서 6조가 넘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놓고 유통채널 간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동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렴한 가격으로 화제를 모았던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. <br /> <br />지난달부터 대웅제약과 일양약품의 제품 판매를 시작했지만, 일양약품은 닷새 만에 추가 판매 중단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약사회가 제약사가 약국에 납품하지 않던 저가 제품을 입점시키고 약국이 폭리를 취한 것처럼 홍보했다며 제약사를 비판한 뒤 나온 결정이라 약사회의 '갑질 논란'이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압박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한약사회 현장 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제약사를 압박해 다른 유통채널을 견제한 사실이 밝혀지면 법적인 책임을 피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입장에선 선택할 권리를 침해받은 셈이라 파장은 커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채진실 / 경기도 안양시 : 제 생각에는 전문의약품이 아니면 이런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좀 더 가깝고, 접근성 있다는 점에서 좋다고…] <br /> <br />논란이 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난 22년부터 6조 원을 넘어서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었지만 유통채널은 다양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건강기능 식품을 구매하는 채널을 조사해본 결과 70%에 가까운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온라인 구매를 하는 소비자는 배송비 때문에 대용량 구매를 선호하는 만큼 소용량·저가 제품은 상대적으로 외면받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다이소와 일부 편의점이 소용량·저가 제품 시장 선점을 위해 나서면서 유통채널 간 경쟁도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[박형규 / CU 관계자 : 고객들이 이제 아무래도 접근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편의점에서 손쉽게 사람들이 건강을 챙길 수 있는 그런 의도로...] <br /> <br />이미 지난 12월 '건기식' 판매를 시작한 CU는 직영점을 중심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다른 편의점들도 건기식 판매를 검토 중으로 알려지면서 유통채널들의 '6조 건기식 시장'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오동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오동건 (odk798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31322234602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