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운명의 한 주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내일부터 다시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결론를 내기 위한 평의가 재개됩니다. <br> <br>쟁점 정리에 나선 헌법재판관들은 이번 주말 각자 따로 사건 기록을 검토했습니다. <br> <br>논의 상황이 일체 베일에 싸인 만큼 이를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 <br>[질문1] 이기상 기자, 재판관들은 오늘 뭘 했습니까? <br> <br>[기자]<br>네, 8인의 헌법재판관들도 오늘은 이곳 헌재로 출근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헌재 사무공간 대부분도 불이 꺼져 적막한 분위긴데요. <br> <br>재판관들은 자택 등에서 머무르며 대통령 탄핵심판 기록을 검토하고, 내일 재개되는 평의에서 논의할 탄핵심판 쟁점 등에 대한 의견을 가다듬고 있는 걸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지난주까지만 해도 윤 대통령의 탄핵사유 주요 쟁점에 대해 재판관들이 결론을 내리지 못한 걸로 파악됐는데요. <br> <br>이르면 내일 평의부터는 비상계엄 선포 과정의 적법성, 포고령 1호의 위헌성, 계엄군의 국회와 선관위 투입 정치인 체포 시도 등 탄핵 사유별 쟁점에 대한 재판관 입장이 속속 확정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재판관들이 탄핵 기각과 인용 여부에 대해 입장을 밝히는 평결 절차로 언제쯤 넘어갈 수 있을 지에도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><br>[질문2] 탄핵 찬반 집회는 오늘도 이어졌죠? <br> <br>네 적막한 헌재 내부와는 달리, 헌재 주변에서는 오늘도 탄핵 찬반 집회가 계속됐는데요. <br> <br>차량들이 스피커로 구호나 음악을 크게 튼 채 헌재 주변 도로를 빙빙 도는가 하면, 곳곳에서 탄핵 찬반 시민들간의 실랑이도 빚어지면서 찬반 양진영의 세력 결집과 헌재 압박도 절정으로 접어드는 분위깁니다. <br> <br>경찰은 일요일이지만 헌재 주변에 차벽을 설치하고, 헌재 관계자나 취재진 등을 제외한 시민들의 헌재 진출입을 통제하며 돌발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연수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이기상 기자 wakeu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