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다음달 상호관세를 부과한 뒤, 나라별로 새로운 협정을 추진할 뜻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한미 FTA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조아라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 <br>다음 달 2일 시작되는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'선 부과, 후 협상'이 원칙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마코 루비오 / 미 국무장관] <br>"우리는 (무역의) '기준선'을 재설정한 다음 국가들과 잠재적으로 양자 협정을 체결해 무역이 공정해질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." <br> <br>루비오 장관은 "미국의 무역 균형이 완전히 깨졌다"며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마코 루비오 / 미 국무장관] <br>"냉전 시기에는 동맹국이 잘 되는 게 미국의 국익에도 부합해 무역 불균형을 허용했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요." <br> <br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달 2일 상호 관세 뿐만 아니라 산업별 관세도 부과하겠다며 자동차를 재차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4월 2일은 해방의 날입니다. 그 외에도 자동차, 철강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." <br> <br>관세 전쟁 격화로 미국 경기 침체 우려도 나오지만 동맹국에도 예외없이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겁니다. <br> <br>반도체와 자동차가 핵심 수출품인 한국도 상호관세의 사정권에 들었다는 관측 속에, 자동차 무관세 등의 혜택을 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, FTA 폐기나 새 협상 체결 등의 우려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허민영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