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우리를 민감 국가로 지정한 것도 풀어야 할 대목이죠. <br> <br>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대리는 한국이 민감한 정보를 잘못 다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먼저 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이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에너지와 원자력 정책을 총괄하는 미국 에너지부가 두달 전 한국을 '민감 국가' 목록에 추가한 것에 대해 조셉 윤 주한 미국 대사대리가 "민감한 정보를 잘못 다뤘기 때문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미국 정부 인사가 지정 배경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윤 대사대리는 오늘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좌담회 자리에서 "에너지부 내 여러 연구소에는 외부로 반출돼서는 안 되는 '수출 민감' 품목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"지난해 2000명 이상의 한국 학생과 연구원 공무원들이 연구소를 방문했는데, 이 과정에서 어떤 사건이 있었고, 일부 민감한 정보를 잘못 다뤄 한국이 리스트에 올랐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다만 사건과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><br>이에 앞서 미국 에너지부 감사관실이 미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계약직 직원이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갖고 한국행 비행기를 타려다 적발됐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> <br>반출하려던 소프트웨어는 수출통제 대상이자 특허 정보였습니다. <br> <br>에너지부 감사관실은 해당 직원의 이메일과 메신저 기록을 조사해 이 직원이 해당 정보의 민감성을 알고 있었고 외국 정부와 소통한 흔적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미국 정부는 우리 정부에 민감 국가 목록에 한국이 오른 이유를 설명하며 이 사안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외교소식통은 “이 밖에 더 중대하고 심각한 사안이 있다는 점도 알린 것으로 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는 미국 측이 밝히지 않고 있다”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