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민의힘은 헌법재판소 선고가 지연될 수록, 탄핵 기각이나 각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늦어지는 이유는 재판관들간의 이견이 발생해서라고 보는데요. <br> <br>선고가 늦어질수록 인용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보는 이유는 뭘까요. <br> <br>홍지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은 대통령 탄핵 선고가 다음주로 넘어갈 거라는 전망이 나오자, 기각 내지는 각하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저희가 바라는 것은, 저희가 희망하는 것은 탄핵 기각이라는 것입니다." <br> <br>[유상범 / 국민의힘 의원] <br>"(헌재) 결정이 미뤄진다는 것은 6명의 의견일치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충분히 나타내는 것입니다. 적어도 기각이나 각하가 될 수밖에 없는…" <br> <br>선고 논의가 길어지는 이유로 여당은 탄핵 인용으로 모아지지 않는 재판관들 간의 이견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계속 이견이 발생할 경우 마냥 끌 수 없으니 결국 기각이나 각하로 결론 낼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[나경원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논의해야 할 쟁점이 많다는 것이고요. 다양한 법률적 견해들이 표출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죠." <br><br>[윤상현 / 국민의힘 의원] <br>"특히 문형배 헌법재판소 소장 대행 등 이런 분들이 인용하려고 엄청 노력할 것입니다." <br> <br>여당 지도부 역시 "문형배 대행의 뜻대로 뭔가가 안되고 있다는 이야기"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헌재의 선고 지연이 야당에게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장동혁 의원은 "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기 위해 민주당에게 시간 벌어주는 심산"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내부에서는 언제 나오든 대통령 파면 결정을 피하기 어려울 거라는 전망도 여전히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지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재평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