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에 포함한 것이 국내에서 큰 논란이 되자 미국 측은 큰일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선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철통 같다는 동맹 상대국을 단지 연구소 보안 문제로 민감국가 리스트에 올렸다는데서 논란과 의문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을 민감국가에 포함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뒤 논란이 커지자 미국 측은 우려 불식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미 에너지부가 양국 과학기술 협력이 제한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, 주한미국대사대리도 별일이 아니라고 안심시키고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정작 국내에서는 민감국가 포함 배경부터 논란과 의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소 보안 문제라고 밝혔지만, 한미 양국 모두 정확히 어떤 문제인지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웅/외교부 대변인(어제) :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인 것으로만 말씀드렸습니다.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제가 이 자리에서 확인해드릴 수 없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갖고 한국으로 가려다 적발된 한국인 연구원 사례가 이유로 지목되기도 했지만,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한정애/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(어제) : 기술 보안과 관련해 한국인 연구원이 연루된 더 심각한 위반 사항이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고, 그것이 굳건한 한미동맹을 흔든 원인이자 민감국가로 지정되는데 결정된 이유로 판단됩니다.] <br /> <br />연구소 보안 문제가 동맹국을 민감국가 목록에 올릴 정도는 아니라는 점에서 보수 진영의 핵무장론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끊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산업부 장관을 급파해 미국 측에 민감국가 제외를 요구한다는 계획이지만, 전망은 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트럼프 정부에 또 다른 협상 카드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면서 외교 당국의 고민도 커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마영후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선기 (sunki05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5032000240071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