얼마 전, 서울 강남 신사동에서 50대 후반 남성이 사망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야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남성은 생전 긴급복지지원을 신청하려 했지만 예산 공백기와 겹치며 지원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배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편함에 각종 고지서가 가득 쌓여있고, 도시가스 배관에는 2월부터 공급을 중단한다는 안내문이 붙어있습니다. <br /> <br />몇 달째 전기요금이 밀리고 연락도 안 되자 집주인이 경찰에 신고했고, 50대 후반 남성 A 씨가 방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하고 상당한 시간이 지난 것으로 추정되는 A 씨는 생전 인근 주민과도 큰 교류가 없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 인근 주민 : 여기 있는 사람들은 낮에는 나가서 일하고, 밤중에 들어와서 잠만 자니까…. 그 말 듣기는 들었는데, 몰라. 누가 들어오고, 누가 나갔는지 우리는 몰라.] <br /> <br />강남구청은 지난해 취약계층 발굴 조사에서 A 씨를 복지 사각지대 발굴 대상으로 선정해 상담을 받으라는 안내문을 보내고 방문도 했지만 부재중이라 A 씨를 만나지는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던 A 씨가 긴급복지지원 사업을 신청하고 싶다며 주민센터에 전화한 건 지난해 12월 30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연말이라 예산이 소진돼 도움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15일에는 A 씨가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했지만, 이때도 도움을 받을 수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구청 측은 긴급복지지원사업의 경우 국가와 시, 구의 예산이 일정 비율대로 투입되는데, A 씨 방문 당시 아직 국가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예산이 남으면 반환해야 하기 때문에 연말에 맞춰 최대한 복지사업에 예산을 모두 쓰고, 연초에는 예산을 받는 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공적 예산의 공백기를 메우기 위해 사회복지재단 등 민간 자원과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[전지혜 /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: 공적 자원이 예산 소진으로 인해 급하게 연결이 어려울 때는 민간 자원을 연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공과 민이 함께 연계되어서 서비스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소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….] <br /> <br />지난 2023년에만 3천 명이 넘게 고독사한 가운데 복지 사업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배민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배민혁 (baemh07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2122501716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