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우리나라와 일본, 중국의 외교 수장들이 만나 3자 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와 일본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공조와 북핵 문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지만, 중국은 북한에 대한 언급을 피하면서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송찬욱 특파원이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도쿄에서 열린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. <br> <br>80분간 진행된 회의가 끝난 뒤, 한일 양국은 북러 군사협력과 북핵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[조태열 / 외교부 장관] <br>"불법적인 러북 군사협력은 즉각 중단돼야 하며 우크라이나전 종전 과정에서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" <br> <br>[이와야 다케시 / 일본 외무상] <br>"북한에 의한 핵·미사일 활동과 암호자산의 탈취, 러북 군사협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" <br><br>반면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북한에 대한 직접 언급 없이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. <br> <br>[왕이 / 중국 외교부장] <br>"각국은 한반도 문제의 근본 원인을 직시해야 합니다." <br> <br>그러면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 추진 등 경제 협력을 강조했는데, 한일 양국이 미국과 밀착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[왕이 / 중국 외교부장] <br>"우리는 역내 경제 통합을 추진하는 것에 합의했습니다." <br><br>외교부 고위관계자는 "중국과 경제통합의 확대나 가속화를 구체적으로 합의한 건 아니"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한일중 외교장관은 3국 협력과 소통 강화의 필요성엔 공감하고, 가급적 빠른 시기에 일본에서 정상회의를 열자고 뜻을 모았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