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일본 고등학생이 내년부터 배울 역사 교과서가 개정됐습니다. <br> <br>조선인 강제징용과 관련해 '징용' 이란 단어를 뺐고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억지 주장을 담았습니다. <br><br>외교부는 부대사를 초치해 항의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송찬욱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내년부터 일본 고등학교 1, 2학년들이 사용할 역사 교과서입니다. <br><br>조선인과 중국인을 일본 각지의 탄광과 광산에 강제로 데려갔다는 뜻이 담긴 ‘징용’이란 단어가 이번 개정판에는 아예 빠졌습니다.<br><br>한반도에서 강제징용으로 '연행'됐다고 쓴 교과서는 '동원'으로 단어를 고치고 검정을 통과했습니다.<br> <br>[이신철 /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소장] <br>"징용이란 단어를 뺌으로써 일본 정부의 책임을 희석시키고 강제연행이라는 단어도 삭제시킴으로 인해서 자발적으로 돈 벌러 간 사람들(이라고 서술한 겁니다.)" <br> <br>지난해 중학교 교과서에 이어 이번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‘종군 위안부’가 아닌 그냥 ‘위안부’로 표현해 강제성을 최대한 지우려는 의도가 보입니다. <br> <br>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도 강해졌습니다. <br> <br>'고유 영토'라는 표현이 들어가지 않은 교과서에 대해 바꾸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><br>[에구치 다카시 / 교과서검정조사심의회 위원] <br>"독도에 대해 일본의 입장이나 현황 등 학습지도요령에 비추어 부적절한 기술에 대해 의견을 냈습니다." <br> <br>외교부는 오늘 오후 주한일본대사관 부대사를 초치해 "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시정을 촉구한다"며 항의했습니다. <br><br>한일 외교 소식통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올해도 일본의 역사 왜곡이 계속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석동은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