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국가 안보에 위협’ 명분으로 일방적 관세 부과 <br />외신 "미 자동차 관세, 가격 인상·산업침체 초래" <br />트럼프, 상호관세 앞두고 차 관세 ’선제 타격’ <br />유럽·캐나다 ’맞불 관세’ 불사…중국, WTO 제소<br /><br /> <br />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자동차 관세 카드까지 빼 들면서 무역 전쟁의 수위가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4월 2일 상호 관세도 예외 없이 모든 나라에 적용하겠다고 밝혀 세계 각국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현숙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외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근거로 백악관은 이번에도 무역 확장법 232조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과도한 외국 차 수입이 미국 자동차 산업을 약화시키고 연계된 군수 산업에도 악영향을 줘 국가 안보를 해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. <br /> <br />1962년 미소 냉전 시기에 만들어져 사실상 사문화됐던 법이지만, 트럼프 집권 1기 때 부활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9년에도 이 법을 토대로 관세 부과 카드를 만지작 거렸던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6년 만에 다시 자동차 관세 카드를 빼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자동차 관세는 여러분이 보지 못했던 성장을 계속 촉진할 것입니다. 제가 당선되기 전에 멕시코와 캐나다 등에 지어지던 공장들이 대부분 멈췄고 우리나라로 옮기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, 관세 카드가 트럼프 정부의 바람대로 꽃놀이패가 될지는 미지숩니다. <br /> <br />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도 글로벌 공급망과 수입 부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철강, 알루미늄에 부품까지 3중고 관세에 신차 가격이 수천 달러씩 올라가면 생산과 소비 양쪽 모두 타격이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[글렌 스티븐스 주니어 / 디트로이트 지역 상공회의소 : 차 평균 가격이 약 4만 9천달러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해있습니다. 차 값이 점진적으로, 심지어 크게 변동하면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. 감산이나 고용 감축까지 공급망에 후방 압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우려됩니다.] <br /> <br />4월 2일 상호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자동차까지 '선제 타격'을 맞은 세계 각국은 대응 마련에 분주합니다. <br /> <br />유럽연합과 캐나다는 '맞불 관세'를 불사하겠다고 밝혔고 중국은 세계무역기구 제소 절차까지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별 상호관세까지 발표되면 트럼프가 쏘아 올린 관세 전쟁과 통상 갈등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윤현숙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임현철 <br />디자인 : 지경윤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현숙 (yunhs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032716022982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