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담사, 신라시대 준공·조선시대 보수한 사찰 <br />건물 한 채 통째로 전소…식지 않은 연기 계속 <br />금정암 화엄강당·무량전 부속 건물 전소 <br />법당인 무량전·대웅전 큰 화 피해…불상 등 대피<br /><br /> <br />경북 북동부를 휩쓴 산불은 수백 년 자리를 지킨 문화유산들도 한순간에 잿더미로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상 처음으로 국가유산 재난 국가 위기 경보가 가장 높은 '심각' 수준으로 발령된 가운데, 이번 산불로 27건의 국가유산이 피해를 봤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임예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안동 길안면 용담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임 기자 뒤로 무너진 건물이 보이는데, 어떤 곳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가 있는 이곳 용담사는 신라 문무왕 때 지어진 사찰인데요, <br /> <br />불이 난 지 사흘이 지났지만, 화마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 부서진 기왓장이 흙더미와 뒤엉켜 있고 식지 않은 연기도 계속 피어 오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산불로 용담사에서는 경북 문화유산인 금정암 화엄강당과 스님과 불교 신자들이 기거하던 부속 건물이 모두 불에 탔습니다. <br /> <br />법당인 무량전과 대웅전은 다행히 큰 화를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용담사에 보관된 불상과 탱화 등 중요 문화재들은 세계유교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안동 다른 곳도 문화재 피해가 크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오늘 아침 저희 취재진은 임동면에 위치한 지례예술촌에 다녀왔는데요, <br /> <br />고택 체험으로도 유명한 마을인데, 건물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처참한 모습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1800년에 지어진 경북 문화유산 지산서당이 화마에 휩쓸려 건물이 모두 무너졌고, 이보다 앞서 지어진 조선시대 건축물 지촌종택도 모두 불에 탔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안동에서는 국탄댁과 송석재사 등 조선시대 고택 여러 채가 전소됐는데요, <br /> <br />한때 소실됐다고 알려진 16세기 정자 만휴정은 불길이 번지기 전 덮어둔 방염포 덕에 큰 피해를 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유산청은 영남권을 휩쓴 산불의 영향으로 오늘 오전 기준 27건의 국가유산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전통 건축물들은 대개 목조 건물이라 화재에 취약한 데다, 주로 산간 지역에 있다 보니 산불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안동 길안면 용담사에서 YTN 임예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예진 (imyj77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2816562264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