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 북부를 휩쓴 대형 산불의 주불이 잡히면서 한시름 덜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 피해가 큰 안동 지역도 잔불 정리에 집중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오선열 기자! <br /> <br />안동 지역도 다행히 불길이 잡혔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동 지역 불길도 모두 잡히면서 산림 당국은 잔불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행스럽게도 1시간 전부터 많은 양은 아니지만, 얕은 비가 내렸다 그치기를 반복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화마가 휩쓸고 간 이곳 마을은 산불 피해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안동 지역에는 밤사이에도 우산이 필요할 정도의 비가 내리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많은 양은 아니지만, 산불 진화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천금 같은 단비와 함께 느려진 바람 덕분에 진화 작업에 속도가 붙었는데요. <br /> <br />오후 5시를 기해 안동에 번진 불길 171㎞ 구간이 모두 진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회마을과 병산서원 등 주요 시설물에도 화제 지연제를 뿌리고 밤새 진화 인력을 배치해 피해가 없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진화에 좋은 환경이 갖춰지면서 산림 당국은 해가 지기 전 불을 모두 껐는데요. <br /> <br />메마른 날씨가 이어지는 만큼, 잔불이 다시 산불로 번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오후 들어 바람도 조금씩 거세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산림 당국은 위험 구역에 진화 헬기를 투입하고, 잔불과 뒷불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산불로 안동에서만 주택 900여 채가 피해를 봤는데요. <br /> <br />대피 주민 2,700여 명은 하루라도 빨리 복구 작업이 완료돼 집으로 돌아가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북 안동에서 YTN 오선열입니다. <br /> <br /> 촬영기자: 김세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선열 (ohsy5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32817550821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