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남권을 휩쓴 산불은 수백 년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문화유산도 잿더미로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처음으로 가장 높은 단계의 국가유산 위기 경보가 발령된 가운데, 이번 산불로 생긴 국가유산 피해가 27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경북 안동의 문화유산 피해현장을 임예진 기자가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깊은 산자락에 위치해 풍광이 좋기로 유명한 안동 지례예술촌이 통째로 불에 탔습니다. <br /> <br />고택 체험을 하려는 사람들로 예약이 끊기지 않던 곳인데, <br /> <br />지금은 온전한 건물이 거의 없을 정도로 폐허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에 있던 문화유산도 삽시간에 넘어온 산불에 힘없이 스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1800년에 세워진 경북 문화유산 지산서당입니다. <br /> <br />강한 바람에 문은 떨어져 나갔고, 건물이 있던 자리에는 산산이 부서진 기왓장이 흙무더기와 잔뜩 뒤엉켜 있어 발을 디디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옆에 있던 지촌종택과 행랑채도 모두 불에 탔습니다. <br /> <br />불길은 거의 사그라들었지만, 건물 잔해 사이에서는 열기가 계속 피어 오릅니다. <br /> <br />신라 문무왕 때 지어져 천 년 넘는 세월을 견딘 용담사도 화를 피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법당인 무량전과 대웅전은 다행히 큰 피해가 없었지만, 사찰의 심장 역할을 하는 종무소 한 채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신자들의 시주로 한장 한장 쌓아 올린 기왓장도 곳곳에 나뒹굽니다. <br /> <br />새벽에 급히 몸을 피했던 스님은 혹시라도 다시 불이 번질까, 전기와 수도가 모두 끊긴 사찰로 돌아와 밤낮으로 잔불을 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운법스님 / 용담사 주지 : 대들보도 많이 의미 있는, 신도들이 다 힘을 모아서 지은 건데 좀 많이 아쉽죠. 신도들하고 지역 주민들이 같이 애쓰고 있으니까 어서 빨리 일어나서….] <br /> <br />또, 금학산 중턱에 있어 산불의 직격탄을 맞은 금정암 화엄강당도 비석만 덩그러니 남긴 채 폭삭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조선 후기 고택인 국탄댁과 송석재사가 전소되는 등 <br /> <br />이번 산불로 안동에서만 문화유산 11곳이 불에 타 훼손됐습니다. <br /> <br />영남권 전체로는 27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무서운 속도로 번지며 재앙 수준의 피해를 낳은 이번 산불은 <br /> <br />역사와 전통이 깃든 문화유산도 송두리째 앗아 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임예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 진수환 <br /> <br />영상편집; 신수정 <br /> <br />디자인; 정은옥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예진 (kimdaegeu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5032821410733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