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 북부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이 대부분 꺼진 가운데, 안동에서 다시 불이 났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헬기 진화 작업 종료를 선언했던 산림 당국은 다시 헬기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오선열 기자! <br /> <br />안동 남후면 야산에서 산불이 다시 발생해 걱정인데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있는 곳이 산불이 발생한 야산 인근 마을입니다. <br /> <br />밤사이 야산에서 꺼져가던 불씨가 다시 살아났는데요. <br /> <br />산림 당국은 일출과 함께 불이 확산하지 않도록 헬기 6대와 진화 인력을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 영향으로 중앙고속도로 남안동IC에서 서안동IC 구간의 양방향 통행은 다시 전면 통제됐습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 10시쯤부터 불이 난 야산에서 연기가 보인다는 신고도 여러 건 접수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혹시 모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선을 구축하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은 다시 발화한 이번 산불은 뒷불 수준이어서 곧 진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산불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남은 불씨가 다시 살아난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진화 체계가 잔불 정리로 바뀐 만큼 곳곳에서 낙엽과 흙 아래에 숨어 있는 불을 끄는 작업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남권은 대부분 지역에 건조특보가 발효되면서 잔불이 다시 번지거나 또 다른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마무리 단계지만, 피해는 막대합니다. <br /> <br />산불 영향구역은 총 4만5천여㏊로 서울 면적의 4분의 3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산불 피해가 큰 5개 시·군은 한때 3만6천여 명이 대피했는데요. <br /> <br />집도, 밭도 잃은 채 겨우 몸만 건진 이재민들은 아직도 대피소에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끝을 모르고 번지던 산불은 겨우 멈췄지만, 주민들의 삶의 터전도 같이 멈췄는데요. <br /> <br />까맣게 타버린 산림 복구와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북 안동에서 YTN 오선열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; 김세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선열 (ohsy5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32909032558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